목회자코너

제목
  누가 왕인가?
작성자
  교회지기 
Date : 2017.08.26 12:50, View : 874 
 

“누가 왕인가?


현재 이 세상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은 싫든 좋든, 동의하든 안하든 ‘예수’라고 하는 사람의 생일을 기준으로 자기 생년월일을 정합니다. 지금 계속 태어나는 생명들도 ‘태어난 때’가 언제인가를 규명하는 기준으로 ‘예수’의 출생 이후, 몇 년 몇 월 몇 일이라고 말합니다. 내 생년월일, 어쩌면 단 한 번도 의식하지 않았을지도 모르지만, 그 숫자는 이 땅에 발 딛고 살았던 ‘예수’라는 사람의 신세를 지고 있는 숫자입니다. 내가 알 수 없는 내가 죽는 날짜, 몇 년 몇 월 몇 일도, 결국 분명히 그 ‘예수’의 출생이후 얼마만인가를 따져 내 묘비에 기록될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일어난 세계의 모든 중요한 역사들도 다 ‘예수’의 출생을 기준으로 그 이전 언제냐, 그 이후 언제냐를 기록합니다. 세계 인류가 흘러온 역사를 보편적인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서 ‘예수’의 출생을 기준으로 하자고 로마시대인 6세기 중엽에 결정된 것입니다. 결국 그 위대한 로마제국은 그들 역사의 주인을 ‘예수’로 결정한 것입니다. 이 말은 온 인류가 의식적으로, 또 무의식적으로도 ‘역사의 주인은 예수다!’ 하고 공인하는 선포입니다.

‘역사’라는 말은 사람들이 쓰는 말인데 사람은 우주의 중심입니다. 그렇다면 ‘사람 역사의 주인’ 이라는 말은 ‘창조주’라는 말이 되는 셈입니다. 그러니까 정신 차리고 생각하면 ‘예수, 그는 하나님이다!’ 하는 의미를 내포한 말이 B.C와 A.D입니다. 인류역사는 왕들의 역사를 중심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왕 중 왕은 예수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신기한 사실은 실제적으로 예수는, ‘나는 하나님이다’라는 사실을 시인했고, 그와 함께 있었던 제자들도 결국에 가서는 ‘예수, 그는 하나님이셨다!’라고 토해내는 증언을 한 것입니다. 처음에는 그저 ‘선생’이요, 선지자로 생각했었는데 결국은 ‘하나님’이라고 다 고백을 해버리고 말더라는 것입니다. 만약에 어떤 사람이 나타나서 ‘나는 하나님이다! 나는 역사의 주인이다!’라고 말을 한다면 우리는 그 사람을 어떻게 생각해야 되겠습니까? 미친 사람이거나 진짜 하나님이거나 둘 중의 하나일 것입니다.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한번쯤은 심각하게 이 사실들을 놓고 판가름해야 합니다. 예수님의 행적을 세밀하게 읽어가면서 그가 미친 사람인지, 진짜 하나님이신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교회는 그저 다니는 곳이 아닙니다. 그냥 마음 편하라고 왔다 갔다 하는 곳이 아닙니다. 이 세상에 살았던 역사적인 인물 예수 그분을 두고, 한 번쯤은 이런 일생일대의 고민을 해야 합니다. 이런 고민 없이 그저 다니는 사람들은 위험합니다.



오늘 0 , 전체 346 , 5/18 페이지.
번호 제목 조회수 등록일
266 예배시간 지키기 예고제 869 2018. 04. 14
265 주께서 주신 마음 864 2018. 04. 07
264 성경읽기 습관을 기르기 위한 3가지 방법 914 2018. 03. 31
263 목장 탐방을 다시 시작 합니다 858 2018. 03. 25
262 무엇을 남기고 갈 것인가? 900 2018. 03. 17
261 집중 새벽기도회 904 2018. 03. 10
260 삶 공부 등록 가이드 912 2018. 03. 03
259 큰 믿음을 키우자 834 2018. 02. 24
258 열매로 말합시다 805 2018. 02. 17
257 교재를 준비합시다 827 2018. 02. 10
256 오직 말씀만이 일하십니다 854 2018. 02. 03
255 하나님의 핑계 857 2018. 01. 27
254 바르게 미칩시다 851 2018. 01. 20
253 물가에 심어진 나무처럼 835 2018. 01. 13
252 새번역 성경을 사용합니다 871 2018. 01. 06
251 에벤에셀의 하나님 844 2017. 12. 30
250 섬김의 자리로 856 2017. 12. 23
249 가정교회에서 삶이 변하는 이유 897 2017. 12. 16
248 주님께서 상장으로 격려해 주시네요 842 2017. 12. 09
247 주차는 이렇게 해 주세요 903 2017. 12.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