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코너

제목
  과학과 신앙(1)
작성자
  교회지기 
Date : 2017.09.30 05:58, View : 859 

“과학과 신앙(1)


지식인들은 진화론에 동의하지 않으면 무지한 사람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진화론은 법칙이 아니고 마지막 글자 ‘론(論)’이 의미하듯이 하나의 이론입니다. 엄격한 의미에서 과학(science)이란 자연 현상을 관찰하여 그런 현상 뒤에 있는 법칙을 발견하는 학문입니다.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theory)을 먼저 만들고 이 이론에 어긋나는 예가 하나도 없다고 확증이 될 때 법칙(law)이라고 부릅니다. (만유인력론이라고 안 하고 만유인력법칙이라고 부르는 이유)

진화론은 생물체의 화석을 통하여 생명의 근원과 발전을 설명하는 하나의 이론 체계입니다. 실험을 통해 진위 여부를 가릴 수 없음으로 엄격한 의미의 과학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진화론을 과학이라고 한다면, 창조론도 과학이 될 수 있다고 창조과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입니다. (사실 화석이나 지층을 설명하는 데에는 진화론자들보다 노아의 홍수로 설명하는 창조과학자들이 더 설득력이 있습니다.)

진화론자들은 만물이 무기물에서 유기물로, 하등동물에서 고등동물로 자연적으로 진화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자연 상태에서 사물은 퇴화하지, 진화하지 않습니다. 방치된 건물은 쇠락합니다. 꽃을 꺾어 두면 시듭니다. 물을 담은 꽃병에 넣어, 햇빛을 비춰주고, 자양분을 공급해 줄 때 꽃이 살아납니다. 진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우발적이 아닌, 의도적이고, 조직적이고, 지적인 외부의 힘이 필요합니다. 크리스천 과학자들은 이 창조의 힘이 하나님으로부터 왔다고 믿습니다.

진화론자들은 오랜 세월 가운데 저절로 단세포 생물이 생겨나서 다세포 생물로 진화하고, 물고기, 양서류, 포유동물로 진화했다고 주장하지만, 최근 유전학자들의 발견에 비추어보면 이런 주장은 정당화가 안 됩니다. 유전자에는 천문학적인 숫자의 정보가 담겨져 있습니다. 이 정보 중에는 환경에 적응하게 만드는 것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찰스 다윈이 관찰한 대로 새가 환경에 따라 여러 모양으로 변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종(species)의 생물이 다른 종의 생물로 변하게 만드는 유전자는 발견할 수가 없습니다. 늑대가 진돗개, 불독, 치와와가 되는 것은 가능하지만(소진화 microevolution), 늑대가 코끼리가 될 수는 없다는 말입니다(대진화 macroevolution). 천문학 숫자의 유전자 고리의 DNA 위치가 하나만 변해도 태아가 기형아가 될 수 있습니다. 한 종의 생물이 다른 종의 생물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유전자에 포함된 수많은 정보가 정확하게 동시에 바뀌어야 하는데, 이런 일이 자연적으로 일어날 확률은 0입니다. (국제가사원장 최영기 목사)



오늘 1 , 전체 346 , 5/18 페이지.
번호 제목 조회수 등록일
266 예배시간 지키기 예고제 859 2018. 04. 14
265 주께서 주신 마음 859 2018. 04. 07
264 성경읽기 습관을 기르기 위한 3가지 방법 911 2018. 03. 31
263 목장 탐방을 다시 시작 합니다 854 2018. 03. 25
262 무엇을 남기고 갈 것인가? 898 2018. 03. 17
261 집중 새벽기도회 902 2018. 03. 10
260 삶 공부 등록 가이드 910 2018. 03. 03
259 큰 믿음을 키우자 832 2018. 02. 24
258 열매로 말합시다 803 2018. 02. 17
257 교재를 준비합시다 825 2018. 02. 10
256 오직 말씀만이 일하십니다 852 2018. 02. 03
255 하나님의 핑계 855 2018. 01. 27
254 바르게 미칩시다 849 2018. 01. 20
253 물가에 심어진 나무처럼 833 2018. 01. 13
252 새번역 성경을 사용합니다 869 2018. 01. 06
251 에벤에셀의 하나님 842 2017. 12. 30
250 섬김의 자리로 854 2017. 12. 23
249 가정교회에서 삶이 변하는 이유 895 2017. 12. 16
248 주님께서 상장으로 격려해 주시네요 840 2017. 12. 09
247 주차는 이렇게 해 주세요 901 2017. 12. 02